로이터통신 "운전자 개입 필요 없는 것처럼 과장 홍보한 발언 등 대상"

센서와 카메라 등을 통해 횡단보도를 감지, 자동으로 멈춘 자율주행 차량. (그래픽=게티이미지)
센서와 카메라 등을 통해 횡단보도를 감지, 자동으로 멈춘 자율주행 차량. (그래픽=게티이미지)

[딜라이트닷넷=박피터슨 기자] 미국 수사당국이 전기차(EV) 업체 테슬라의 운전 보조 기능과 관련해 사기 혐의가 있는지 파악 중이라고 로이터통신이 8일(현지시간) 이 사안에 밝은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 연방 검찰은 테슬라가 자사 차량의 오토파일럿(Autopilot) 및 완전자율주행(Full Self-Driving, FSD) 시스템을 소개하면서 소비자와 투자자들을 속였는지 여부를 내사 중이다.

검찰의 내사 초점은 전자 통신 수단을 이용해 소비자를 기망했을 때 적용되는 '전신사기(wire fraud)'와 증권 투자자들을 속였을 때 적용되는 '증권사기(securities fraud)' 혐의 부분이다.

테슬라 라인업에 기본으로 장착되는 오토파일럿과 별도 옵션으로 판매되는 FSD 시스템은 센서와 카메라 등을 이용해 방향 전환이나 제동 장치를 작동하도록 돕지만 운전자 개입이 필요 없는 완전 자동 기능은 아니다.

이에 따라 테슬라도 공식적인 소비자 안내문 등에서는 운전자들에게 이런 기능이 작동 중일지라도 유사시 차량을 직접 통제할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검찰은 회사 측의 공식 안내문과는 어감이 다른 기타 홍보 문구와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테슬라 차량이 스스로 운전한다"는 취지의 발언 등에 사기성이 있는지를 파악 중이다. 

테슬라의 웹사이트에 저장된 기술 홍보 동영상은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운전석에 앉은 사람은 법적인 이유로(for legal reasons) 거기 있을 뿐,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차는 스스로 운전하고 있습니다."

또 머스크 CEO는 10년 전쯤부터 기회가 있을 때마다 테슬라 차량의 운전자 보조 기능에 대해 공격적으로 선전하고 있다. 그는 2016년 "테슬라 차량은 도심을 지나 고속도로까지 스스로 주행한 뒤 주차 공간을 찾는다"고 오토파일럿 기능을 소개한 바 있다.

또 2022년 FSD 출시에 앞서 "운전대를 잡지 않아도 직장과 친구 집, 식료품 가게로 이동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말하는 등 실적 보고회 등을 통해 수시로 자사 운전 보조 기술의 우수성을 자랑해왔다. 

저작권자 © 딜라이트닷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