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라이트닷넷=이건한 기자] 2025년 글로벌 AI 시장은 충격으로 시작해 팽팽한 긴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미국의 강력한 기술 봉쇄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알리바바와 딥시크를 비롯한 자국 기업들을 앞세워 실리콘밸리와 대등한 수준의 AI 모델을 잇따라 내놓고 있기 때문이다. 엔비디아 GPU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자국 NPU 개발과 인프라 구축 지원에도 사활을 걸고 있다.이를 일찍이 감지한 미국은 중국의 AI 굴기를 원천 차단하는 강한 압박 전략을 구사해왔다. 특히 이달 초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엔비디아의 저사양 중국 시장용 GPU(모델명
[딜라이트닷넷=이건한 기자] 최근 다양한 인공지능(AI) 에이전트가 미래 기술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AI 모델과 외부 서비스를 잇는 표준 기술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국내외 빅테크와 스타트업들은 ‘MCP(Model Context Protocol)’ 기술 확보에 열을 올리는 모습이다. 업계에서는 MCP가 마치 PC 시대에 다양한 기기를 하나의 포트로 연결한 표준 인터페이스 ‘USB’처럼, AI 시대의 핵심 연결고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MCP라는 개념을 처음 제시하고 오픈소스로 공개한 곳은 미국 AI 기업
[딜라이트닷넷=이건한 기자] 현재 글로벌 AI 산업의 최선도기업으로 꼽히는 오픈AI가 진행 중인 ‘12 days OpenAI(12일의 오픈AI)’ 이벤트가 기존 기업 행사와 차별화된 메시지 전달 및 마케팅 방식으로 눈길을 끌고 있다. 오픈AI는 지난 5일, 공식 SNS 채널을 통해 “12일, 12개의 라이브 스트림, 크고 작은 새로운 것들, 12일의 오픈AI는 내일부터 시작된다(12 days. 12 livestreams. A bunch of new things, big and small. 12 Days of OpenAI starts t
[IT 전문 미디어 블로그=딜라이트닷넷] 오픈AI의 챗GPT가 쏘아 올린 전세계 AI 붐 밑단에는 ‘엔진’ 격인 대형언어모델(LLM)이 있다. 이후 지금까지 구글, 메타 등 전세계 경쟁사들도 다양한 종류의 LLM 경쟁 모델을 쏟아내고 있는 가운데, 신모델이 등장할 때마다 주목되는 건 벤치마크(Benchmark) 점수다.벤치마크는 특정 시스템의 성능이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설정된 기준점을 말한다. 이때 표준화된 벤치마크는 사용자의 ‘체감’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세밀한 영역의 성능 수치 가시화를 돕는다. 이는 현재 AI 산업처럼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