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파일럿 SW 책임자 증언…"미완성 기술 구현된 것처럼 연출"

테슬라 모델X. (사진=테슬라 홈페이지 캡처)
테슬라 모델X. (사진=테슬라 홈페이지 캡처)

[딜라이트닷넷 박피터슨 기자] 글로벌 전기차(EV) 업계의 선두주자인 테슬라가 자사 차량의 자율주행 기능을 과시하기 위해 사용한 2016년 동영상은 시스템에 없는 미완성 기술이 구현된 것처럼 연출됐다는 증언이 나왔다.

테슬라 웹사이트 아카이브에 보관돼 있는 이 모델X 자율주행 동영상은 2016년 10월 공개돼 당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테슬라는 운전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주행한다"며 그 증거 자료로 자랑한 것이다.  

그러나 테슬라의 오토파일럿(Autopilot) 소프트웨어 책임자인 아쇼크 엘러스와미는 당시 동영상 속 모델X가 장착된 기술에 따른 자율주행을 하지 않았음을 실토했다고 로이터통신이 17일 전했다.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엘러스와미의 증언은 2018년 애플 엔지니어 월터 황이 테슬라 오토파일럿 시스템 작동 중 사망한 충돌사고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소송과 관련, 핵심 증거로 채택된 녹취록을 통해 확인됐다.

앞서 보도된 바 없는 엘러스와미의 증언은 테슬라 직원으로서는 처음으로 문제의 모델X 동영상 제작 경위를 확인하고 자세히 설명한 것이다.

동영상은 다음과 같은 선전문구를 달고 있다. "운전석에 앉은 사람은 법적인 이유로 그곳에 있을 뿐,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다. 차가 스스로 달리고 있다."

이 동영상을 만들기 위해 테슬라는 지정된 경로의 지도를 입체로 만드는 3D 매핑(mapping) 기법을 사용해 모델X가 도로 상태를 스스로 파악했다기보다는 사전 입력된 정보에 따라 운행됐다고 앨러스와미는 진술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이 동영상의 제작 목적은 2016년 당시 고객이 이용 가능한 기술을 정확히 묘사하는 것이 아니었다"며 "오토파일럿 시스템을 통해 무엇을 구현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취지"라고 주장했다.

테슬라는 현재 오토파일럿 시스템과 관련된 사고가 여러 건 잇따라 과대 광고 등과 관련해 피해자들이 제기한 소송에 얽혀 있으며 범죄 혐의점에 대한 규제 당국의 조사도 받고 있다.

저작권자 © 딜라이트닷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