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와 넷플릭스 등 주가 급락 분석·보도

[딜라이트닷넷 박피터슨 기자] 미국 주식시장의 대표적인 기술주인 ‘팡(FAANG·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넷플릭스, 구글)’이 지난해 극심한 약세를 보여 이들의 시가 총액이 총 3조 달러(약 3800조원) 정도 줄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 보도에 따르면 이들 5개 거대 빅테크(Big Tech) 중 최대의 낙폭을 기록한 기업은 페이스북의 모회사인 메타로 지난해 64%나 떨어졌다. 넷플릭스도 절반이 넘는 51%, 나머지 3개 기업도 27% 이상 하락세를 기록했다.
대형 기술주인 FAANG이 부진의 늪에서 허덕이자 미국 500대 기업 주가를 반영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 역시 하강곡선을 그려 지난해 19%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이는 2008년 리먼브라더스 사태가 몰고 온 전 세계적 금융위기 이후의 가장 저조한 성적표로, S&P 500에서 차지하는 FAANG의 비중은 2021년 17%에서 지난해 13%로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0년대에 강세를 이어오던 FAANG이 약세로 돌아선 것은 무엇보다 근 반 세기 만에 발생한 최악의 인플레이션을 다스리기 위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공격적으로 인상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글로벌 자산운용사 뉴버거버먼(Neuberger Berman)의 에릭 크누천 자산투자전략 부문장은 "저금리 시대에는 투자자들이 성장성이 높은 종목에서 고수익을 노리지만 금리가 오르면 상황이 반전된다"고 말했다.
고금리 시대를 맞은 투자자들의 전략이 바뀌면서 기술주가 하락한 반면 2021년 부진했던 S&P 500의 에너지 분야는 지난해 59%나 반등했고 소비자 필수품과 의료·보건 등 경기 상황에 비교적 둔감한 종목들도 평균 이상의 호조를 보였다.
정유업계 슈퍼메이저 중 하나인 엑슨모빌의 경우 2021년에는 시가 총액 기준으로 S&P 500의 상위 25위권 밖이었지만 지난해 8위로 부상했다. 반면 메타는 S&P 500 6위에서 19위로, '전기차의 대부' 테슬라는 5위에서 11위로 내려앉았다.
경기 침체가 예고되면서 빅테크 기업들의 반등은 당분간 점치기 어려운 안갯속 상황이어서 메타와 아마존 등은 부정적인 상황 타개책의 일환으로 직원 정리해고 계획을 발표하는 등 비상 경영에 나서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