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 총리 "탈탄소 속도 내고 산업 경쟁력 제고…전방위 지원전략 마련할 것"
11일 국무회의 상정, 사실상 정부안 확정...전력 부문 최대 75% 저감해야

[딜라이트닷넷=이나무 기자] 대통령 직속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2035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53∼61%'로 설정하기로 했다.
위원회는 10일 오후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서울청사 별관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를 의결했다.
전날 고위당정협의회에서 공감대를 이룬 안과 동일한 수치로, 11일 국무회의 심의 절차가 남긴 했지만 사실상 정부의 NDC 안이 확정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김 총리는 "전문가, 시민사회, 국회 등 각계 의견을 수렴해 53%를 최소, 61%를 최대로 하는 감축안을 마련했다"며 "우리 정부의 탈(脫)탄소 전환을 가속화하고 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결정"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정부는 해당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재원 확보·기술 개발·제도 개선 등 전방위에 걸친 지원 전략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를 위한 주요 수단인 '배출권 거래제'가 제 역할을 하도록 배출권 가격을 정상화하는 등 제도를 손질하겠다"며 "아울러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노력하는 기업에 혜택을 주는 등 산업계의 의지도 제고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보면 전력은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등 전력망 확충을 통해 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고, 석탄 등 화석연료 발전을 감축해 2018년 대비 68.8~75.3%를 줄인다.
산업 부문은 강도 높은 혁신 지원을 바탕으로 연·원료의 탈탄소화, 공정의 전기화, 저탄소 제품 생산 확대 등을 통해 2018년 대비 24.3%~31.0% 감축한다.
건물 부문은 제로에너지건축과 그린리모델링 확산, 열 공급의 전기화를 통해 53.6~56.2% 감축한다.
수송 부문은 전기·수소차 보급 확대, 내연차 연비개선, 대중교통 활성화 등을 통해 2018년 대비 60.2%~62.8%를 감축한다.
이 외에도 가축분뇨 처리개선을 위한 에너지화 시설 확충, 폐기물 발생 최소화 및 재활용 확대, 수전해수소 생산 확대, 산림 순환경영 및 국산 목재 이용 활성화,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기술개발 및 상용화 등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 저감 및 탄소 흡수를 강화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