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픽사베이]
[Ⓒ 픽사베이]

 

인공지능(AI) 기술 패권을 둘러싼 글로벌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각국 정부가 핵심 인재 확보를 위한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 중국, 영국, 일본은 AI 연구개발(R&D) 투자와 함께 국내외 고급 인재 유치를 위한 체계적 정책을 다각도로 추진 중이다.

반면 한국은 상대적으로 단기 사업 위주의 양적 확충에 머물러 있어, 중장기적 인재 생태계 구축과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구조적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중국·영국·일본은 각각 자국 특성에 맞는 AI 인재 양성·유치 전략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인재를 흡수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인재 유출과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동시에 겪으며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은 풍부한 민간 R&D, 세계적 대학 시스템, 개방적 이민 정책을 통해 AI 인재 블랙홀로 자리 잡았다. 2020년 ‘미국 AI 이니셔티브(American AI Initiative)’, 2022년 ‘AI 교육법’, 2023년 ‘국립과학재단(NSF) 교육 AI 이니셔티브(NSF Educate AI Initiative)’ 등으로 K-12부터 대학원까지 교육을 확대하고 있으며,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AI를 위한 행정명령(2023년)’을 통해 전문가 비자를 확대했다. 그러나 트럼프 2기 출범 후 과학기술 연구예산 삭감 등 정책 변동성이 커져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중국은 막대한 정부 투자와 높은 연봉, 귀환 장려 정책을 결합해 AI 인재 대량 양성에 나서고 있다. 2020년 ‘치밍 계획’으로 귀환 인재에게 고액의 정착금을 지급하고, ‘R(고급 인재) 비자’를 통해 외국 인재에게 우대 정책을 적용하고 있다. ‘AI 인재양성 백서(2022년)’와 ‘중고등학교 AI 교육 강화 정책(2024년)’ 등으로 전방위 교육 체계를 구축했지만, 외국 국적자 유치에는 정치·문화적 제약이 여전하다.

영국은 2021년 ‘국가 AI 전략’을 통해 국제 AI 표준 수립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2025년 ‘AI 기회 행동계획’에서는 윤리적 AI 개발을 위한 정책적 기반 마련 등 AI 생태계 조성에 관심이 많다. 또한 ‘글로벌 인재 비자(Global Talent Visa)’ 및 ‘고잠재력 개인 비자(High Potential Individual Visa)’로 우수 외국 인재를 유치하며, AI 박사과정 센터 및 펠로우십 프로그램 확대를 통해 연구 중심 인재를 집중 육성 중이다.

일본은 고교생부터 성인까지 전방위 AI 교육을 제공하는 한편 ‘특별 고도인재 제도(J-Skip)’를 통해 배우자 취업, 가사도우미 고용, 영주권 요건 완화 등 우대 조치를 제공하고 있다. ‘AI 전략 2022’에서는 고교생부터 전 국민 대상 AI 기초교육 확대와 AI 응용 인재 25만명 양성 등을 내걸었고, 2023년 ‘반도체·디지털 산업전략’ 및 2024년 ‘생성형 AI 전략’에서는 대학·기업·연구기관이 협력하는 고급 디지털 인재 양성 체계를 통해 기술력과 실무력을 겸비한 인재 확보에 방점을 찍었다.

한국은 ‘AI 국가전략(2019년)’을 시작으로 ‘디지털 인재 양성 종합방안(2022년)’, ‘초거대 AI 경쟁력 강화 방안(2023년)’ 등을 통해 교육 기반을 확충하고 있다. 또한 올해 ‘톱티어(Top-Tier) 비자’를 신설하고 첨단산업 우수 해외 인재 지원 프로그램인 ‘K-테크 패스(K-Tech Pass)’와 연계해 각종 정주 지원을 하며 외국인 인재 유입을 도모하고 있으나, AI 인력 부족과 순유출은 여전하다. 국내 인재 유치 매력도는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 기준 30~40위권으로, 단기간 상위권 진입은 어려운 상황이다.

보고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대학·연구기관·기업 간 산학협력 강화 ▲해외 인재 정주·창업 지원 확대 ▲국내외 AI 전문가와 공동 프로젝트 추진 ▲AI 혁신 클러스터 조성 등을 제안하고 있다. 특히 해외에 거주 중인 한국계 인재 활용 방안 마련과 중소기업 대상 원스톱 해외 인재 채용 지원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딜라이트닷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