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라이트닷넷=장영일 기자] 지난 5년간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임원 증가율이 직원 증가율보다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일부 업종에서는 임원 수는 늘었지만 오히려 직원 수는 줄어드는 역전 현상도 나타났다.
25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비교 가능한 331개 기업을 대상으로 5년간(2020년 1분기∼2025년 반기) 직원·임원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 직원 수는 121만9586명에서 125만3474명으로 3만3888명(2.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임원 수는 1만2688명에서 1만3873명으로 1185명(9.3%) 늘었다.
직원 증가율 대비 임원 증가율은 3배 이상 높았다.
이에 따라 직원 100명당 임원 수 비율도 1.04%(2020년)에서 1.11%(2025년)로 0.07%포인트 상승했다.
5년간 23개 업종에서 직원·임원 수가 모두 증가한 경우는 13개, 직원과 임원 수 둘 다 감소한 업종은 4개였다.
직원 수는 감소했지만, 임원 수가 증가한 업종은 3개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가장 격차가 심한 곳은 은행·보험 등 금융 업종이었다.
은행권은 조사 대상 12곳의 직원 수가 9만2889명에서 8만3907명으로 8982명(9.7%) 감소한 반면, 임원은 293명에서 327명으로 34명(11.6%) 증가했다.
보험업도 비슷했다. 전체 직원 수는 4만4847명에서 4만2103명으로 2744명(6.1%) 줄었는데, 임원 수는 671명에서 734명으로 63명(9.4%) 늘었다.
통신, 유통, 석유화학 업종은 직원·임원 수가 동반 하락했으나 직원의 감소 폭이 더 컸다.
통신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의 경우 직원 수는 3만9408명에서 3만608명으로 22.3%(8800명) 감소했는데, 임원은 285명에서 281명으로 4명 줄어드는 데 그쳤다.
또 유통 16개 기업의 직원 수는 9만3038명에서 8만3655명으로 10.1%(9383명) 줄었으나, 임원 수는 548명에서 532명으로 2.9% 감소했다.
산업 구조조정이 이어지고 있는 석유화학 업종의 경우, 27개 기업 직원 수가 6만8700명에서 5만9215명으로 13.8%(9485명) 감소했고, 임원은 1207명에서 1122명으로 7.0%(85명) 줄었다.
리더스인덱스는 "최근 임원을 줄이려는 움직임도 감지되지만, 기업들의 공채 폐지와 경기 침체에 따른 채용 축소 여파로 직원보다 임원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