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커볼케 사장 "제네시스 다음 10년은 마그마"

[딜라이트닷넷=장영일 기자] 출범 10주년을 맞은 현대차의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가 향후 10년을 이끌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고성능차 프로그램 '마그마'를 낙점했다.
제네시스 마그마 출시를 이끈 제네시스 경영진들은 지난 10년간 제네시스가 '수우미양가' 중 '수'에 해당하는 큰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하며 향후 출시될 모든 제네시스 모델에 마그마를 하나의 트림으로 정착시켜 '럭셔리 고성능' 영역을 새롭게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제네시스는 지난 21일(현지시간) 프랑스 르 카스텔레에서 연 '마그마 월드 프리미어'에서 글로벌 취재진과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는 현대차그룹 최고 디자인책임자(CDO) 겸 최고 크리에이티브 책임자(CCO)인 루크 동커볼케 사장과 제네시스 사업본부장인 송민규 부사장, 차량 개발담당 만프레드 하러 부사장, 제네시스 유럽사업 총괄 피터 크론슈나블 법인장 등이 참석했다.
동커볼케 사장은 지난 10년간 제네시스의 성과를 묻는 말에 "제네시스의 DNA를 창조하고, 진화시키고, 성장시킨 것은 다른 브랜드와는 비교할 수 없는 특별한 경험이었다"며 "제네시스의 첫 10년은 마그마 이전이고, 다음 10년은 마그마의 10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제네시스 사업부를 총괄하는 송민규 부사장은 "지난 10년간을 평가하면 우리는 100점에는 도달하지 못했지만, 수우미양가 중 적어도 수는 맞았다고 생각한다"며 "이제 다음 10년을 모터스포츠와 할 것이고, 이제는 고성능에 럭셔리(Luxury)를 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제네시스의 마그마의 첫 번째 차량으로 전동화 모델 GV60을 선택한 것에 대해선 젊은 감각을 유지하기 위해서였다며 향후 모든 제네시스 라인업에 마그마를 추가하겠다고 밝혔다.
송민규 부사장은 "마그마가 지향하는 고성능 럭셔리를 생각했을 때 가장 젊은 모델을 선택해야 한다고 봤다"며 "지금은 수정됐지만 앞서 제네시스는 2025년부터는 모든 모델을 전기차로 출시하겠다는 계획을 밝혔고, 그러한 관점에서 볼 때 가장 젊은 차량이 GV60이었다"고 전했다.
이어 "트랙에서 가장 성능이 뛰어난 차보다는 '이 차의 잠재력은 어느 정도일까?'라는 의구심이 드는 차를 만들고 싶었다"며 "앞으로 나올 모든 모델에서 마그마는 상품 기획 단계부터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을 것이고, 최고 중의 최고 사양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다만 그는 고성능 브랜드는 가격 경쟁력에 초점을 두지 않는 만큼 마그마 차량은 제공하는 가치보다는 가격이 조금 낮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고성능 영역에서 '럭셔리 고성능'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구축해야 하는 만큼 일본, 독일, 중국 등 다른 브랜드는 많이 참고하겠다는 계획도 전했다.
동커볼케 사장은 "완성차 업계가 중국의 시대라고 하는데 이제 15년만 있으면 인도의 시대가 될 것"이라며 "하지만 경쟁은 우리를 더욱 나아지게 하고, 차별화를 할 수 있게 해준다"고 강조했다.
송민규 부사장은 "일본 도요타, 렉서스로부터는 품질에 대한 무한한 노력을, 독일 메르세데스-벤츠 등으로부터는 100년간 쌓아온 엔지니어링과 경험을 배워야 한다"며 "중국 기업들로부터는 '타임 투 마켓'(빠른 시장 대응속도)을 배워 제네시스만의 색깔을 만들면 된다"고 말했다.
제네시스는 마그마 출시를 계기로 럭셔리차와 고성능차의 본거지와 같은 유럽 공략도 강화할 계획이다.
피터 크론슈나블 법인장은 "유럽에는 독일 '빅3'가 있지만 저희는 그들의 방식으로는 성공할 수 없다"며 "새로운 프리미엄을 찾아야 하고, 마그마로 대표되는 '고성능 럭셔리'가 그것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