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궁홍(오른쪽) 삼성E&A 사장과 우기홍 대한항공 부회장이 지난 20일 ‘SAF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삼성E&A)
남궁홍(오른쪽) 삼성E&A 사장과 우기홍 대한항공 부회장이 지난 20일 ‘SAF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삼성E&A)

[딜라이트닷넷=박지선 기자] 삼성E&A와 대한항공은 지난 20일 서울 강서구 대한항공 본사에서 '지속가능항공유(SAF)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날 서명식에는 남궁 홍 삼성E&A 사장과 우기홍 대한항공 부회장 등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삼성E&A와 대한항공은 이번 협약으로 해외 SAF 생산 프로젝트 발굴 SAF 장기 구매(Offtake) 검토 및 상호 지원 SAF 관련 신기술·프로젝트 투자 삼성E&A 'SAF 기술 동맹' (Technology Alliance) 파트너 참여 등을 추진한다.

양사는 보유한 기술력과 네트워크를 활용해 안정적인 SAF 생산·공급망을 구축하고 관련 사업 기회를 공동 발굴할 예정이다.

첫 협력 대상지로 SAF 생산 여건이 가장 유리한 미국 시장을 선정해 현지 프로젝트 참여 방안 검토에 본격 착수한다. 미국은 원료 수급, 인프라, 기술 측면에서 글로벌 SAF 생산의 최적지로 평가받는 지역으로, 양사는 생산부터 수요까지 전 과정을 담당하는 역할을 나눠 수행한다.

삼성E&A는 EPC(설계·조달·시공) 역량을 바탕으로 미국 현지에서 추진되는 2세대 SAF 생산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 참여를 검토 중이다. 폐목재 등 비식용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가스화-피셔-트롭시(FT)’ 기반 2세대 SAF 생산 기술을 적용한다.

대한항공은 생산된 SAF를 구매하는 '오프테이커' 역할을 맡아 생산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오프테이커는 일정 기간의 생산량을 고정적으로 사들여 신규 에너지 사업 기반을 안정화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이번 협력은 정부가 추진 중인 'ABCDEF'(인공지능·바이오·문화콘텐츠·방산·에너지·제조업) 6대 전략 산업 중 에너지(Energy) 분야에서 국내 기업 간 상생형 글로벌 진출 모델을 제시한 사례로 평가된다. 생산 기술 기업과 수요 기업이 함께 해외시장을 공략함으로써 사업 경쟁력을 높이는 구조다.

삼성E&A 관계자는 "SAF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부터 글로벌 오프테이커인 대한항공과 함께 참여해 프로젝트 실행 가능성을 높이고 발주처 신뢰를 얻어 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것"이라며 "앞으로 에너지 전환 분야 신사업 참여를 확대해 중장기 지속성장의 동력으로 키워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딜라이트닷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