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세대별 고용률 분석결과...40대 제외 전 연령층서 상승
40대 퇴직 절반이 휴·폐업, 명예퇴직, 정리해고 등 비자발적 사유

 전경련 조사결과 지난 5년간 40대 고용률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전경련 조사결과 지난 5년간 40대 고용률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딜라이트닷넷 이나무 기자] 최근 5년간 모든 연령대 중 유일하게 ‘40대’만 고용률이 감소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올해 경기 침체와 고금리·고물가 등으로 일부 산업에서 구조조정 바람까지 불 것으로 예상돼 40대 일자리는 더욱 위협받을 것으로 보인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30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를 바탕으로 지난 2017년~2022년 최근 5년간 세대별 고용률 추이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세대 중 유일하게 ‘40대’만 고용률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 연령대별 고용률 변화를 보면 ▲15~29세 4.5%p(포인트) ▲30~39세 2.0%p ▲50~59세 1.8%p ▲60세 이상 4.6%p 각각 상승했다. 그러나 ▲40~49세의 고용률만 유일하게 1.3%p 감소했다. 60세 이상 고용률은 유일하게 한해도 빠짐 없이 지속 상승했다.

전경련은 “5년간 전체 취업자 수가 136만4000명(2017년 2672만5000명 → 2022년 2808만9000명) 늘어나는 동안, 40대 취업자 수는 반대로 46만9000명(678만3000명 → 631만4000명) 줄었다”며 “40대 중장년층의 일자리 감소는 가계소득 감소와 소비지출 위축, 내수 악화 등 악순환을 야기해 국가 경제 타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업종별 40대 취업자 변화를 살펴보면, 도소매업(-21만2000명), 제조업(-10만4000명), 숙박 및 음식업(-9만3000명), 교육서비스업(-8만2000명), 건설업(-7만4000명) 등의 순으로 40대 취업자가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 4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17만7000명으로 40대 전체 퇴직자의 45.6%에 달했고 2017년(16만7000명)보다 6.0% 증가했다. 비자발적 퇴직자 비중은 2017년 38.5%에서 5년새 7.1%p 상승했다. 비자발적 퇴직자란 휴·폐업, 명예·조기퇴직이나 정리해고 등으로 퇴직한 것을 말한다.

전경련은 “지난 5년간 최저임금 급등 및 코로나 사태 등으로 인해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교육서비스업 등이 타격을 받았다”며 “제조업 부진, 공장자동화 및 일자리 해외 유출 등으로 제조 일자리가 줄어들었고, 코로나 확산과 원자재 가격 및 금리 급등 등으로 인해 건설경기가 위축된 영향이 반영됐다”고 분석했다.

한국의 40대 고용률 수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에서도 하위권이다. 지난 2021년 기준 한국의 40대 고용률은 77.3%로, OECD 38개국 평균인 82.5%보다 5.2%p 낮아, 31위에 머물렀다. 주요국들의 40대 고용률은 일본 86.5%, 독일 86.3%, 영국 84.8%, 프랑스 84.2% 이다.

40대 고용률은 향후에도 개선될 가능성이 불투명하다. 전경련은 “최근 경기둔화, 불안정한 대내외 여건으로 기업들이 잇단 구조조정에 나서면서 일자리를 잃은 40대 가장들이 다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올해 금융, 건설, 제조업 등을 중심으로 구조조정 바람이 불면서 40대 중장년층의 일자리가 더욱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며, 고용경직성이 높은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는 중장년층의 재취업이 매우 어렵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딜라이트닷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