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 황 “중국이 저렴한 전기요금 등으로 AI 경쟁에서 승리할 것”
“대중 규제가 오히려 중국의 기술 개발 속도를 높일 수 있어”
[딜라이트닷넷=이나무 기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중국이 인공지능(AI) 경쟁에서 승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의 낮은 에너지 비용과 느슨한 규제를 주 요인으로 봤다.
파이낸셜타임스는 5일(현지시간) 영국에서 자사 주최로 열린 ‘AI의 미래 서밋’에서 황 CEO가 이같이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 발언은 미국 정부가 중국에 대한 엔비디아 최첨단 칩 ‘블랙웰’ 판매 금지 조치를 유지한다고 밝힌 뒤 나왔다. 미·중 갈등으로 엔비디아가 직접적인 타격을 입는 상황에서 한층 강도 높은 발언을 내놓은 것으로 보인다.
황 CEO는 미국·영국 등 서방이 ‘냉소주의’에 발목을 잡혀 있다며 “우리는 더 많은 낙관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국 각 주에서 추진하는 새로운 AI 규칙을 언급하면서 “50개의 새로운 규제가 생길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반해 중국은 에너지 보조금 정책을 통해 현지 기술기업들이 엔비디아 AI 칩의 대체품을 훨씬 저렴하게 운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중국에서는) 전기가 공짜”라고 했다.
앞서 파이낸셜타임스는 중국이 자국 반도체를 사용하는 대형 데이터센터의 전기 요금을 50%까지 감면해주는 제도를 도입했다고 전했다. 화웨이·캠브리콘 등 자국산 칩의 전력 효율이 엔비디아보다 낮아 비용이 많이 든다는 업계 지적을 반영한 조치로 전해졌다. 또한 중국은 알리바바, 바이트댄스 등 기술기업에 엔비디아 칩 구매를 중단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로이터통신은 중국 정부가 국가 자금을 지원받은 신규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 대해 자국산 AI 칩만 사용하도록 하는 지침을 내놨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황 CEO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대중 수출 규제를 강도 높게 비판해왔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컴퓨팅 시장인 중국에 대한 규제가 오히려 중국의 기술 개발 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이 중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 첨단 AI 칩을 판매해 미국 기술에 의존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황 CEO는 이날 별도 성명을 내고 “내가 오랫동안 말해왔듯이, 중국은 AI 분야에서 미국보다 나노초(nanoseconds) 차이로 뒤처져 있다. 미국이 앞서 나가고 전 세계 개발자들을 선점해 승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지난달 30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회담에서 엔비디아 AI 칩 수출 문제는 테이블에 오르지 못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방영된 CBS 인터뷰에서 “우리는 중국이 엔비디아와 거래하도록 하겠지만 최첨단 칩은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며 “최첨단 칩은 미국 외에 어느 누구도 갖지 못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